예약/상담문의
055-249-5800 카톡상담
menu

무룹병원

MURUP HOSPITAL
무룹소식
보도자료
전체 저널 TV,신문,대중매체
제목 [이정수의 건강 칼럼]사고 관련 급성 외상성 어깨 손상 진단 2
이름 관리자
파일 신문기사 블로그사11진작업.jpg [247.58 KB] 신문기사 블로그사11진작업.jpg
신문기사 블로그사11진작업.jpg








[이정수의 건강 칼럼]
사고 관련 급성 외상성 어깨 손상 진단 (2)


회전근개 힘줄 파열은 정형외과 외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진단 중 하나다. 대부분 연세가 있으신 분들인 경우가 많고, 그 중에는 작은 외상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외상에 의한 파열인지 아니면 퇴행성 파열인지가 보험 혜택과 관련되기 때문에 굉장히 민감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외상으로 인한 회전근개 힘줄 손상의 발생 기전은 직접적인 충격 및 사고로 인한 급성 동작 변화로 인해 견관절 회전근개에 급격한 부하가
가해졌을 때 발생한다. 가장 흔한 손상 기전은 팔을 뻗은 상태로 넘어지면서 수동적인 힘이 어깨에 가해지는 경우이다.


또한 인지하지 못 한
상태에서 외력이 주어질 때 회전근개 힘줄이 파열되는 경우가 있는데, 후방 추돌 사고의 전방 차량 운전자는 부딪히는 소리나 급격한 차량의 움직임에
반사적으로 브레이크를 밟음과 함께 힘을 주면서 운전대를 잡고 버티는 동작을 할 때 상대적으로 이완된 회전근개 힘줄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면서
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부상 과정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연구가 없는 실정이라서 사고 연관성을 판단하는 데 참고 사항일 뿐 절대적인 증거로서 적용할
수는 없다. 그래서 대한견주관절 학회에서는 2012년 사고 연관성에 대한 참고 사항을 발표했다.


 


우선 증상이 적합한 외상과의 인과 관계에 있어야 하고, 외상 후 최소 3일 이내에 의사 진료를 받은 병력이 있어야 한다. 외상 후 어깨 내
피가 차는 혈종이 있거나, 능동적인 관절 운동에 장애가 있거나 근력 저하 소견을 보일 경우 외상과 연관성이 높아진다.


X-ray 검사상 관절염
징후가 없어야 하고, 외상 후 시행한 초음파나 MRI 검사상 힘줄 파열이 있으면서 골부종이나 관절액 증가 소견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관절경
수술 시 혈관절증이 있고, 힘줄의 파열 부위가 찢어진 형태이면서 출혈이 동반돼 있으면 외상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각 사고마다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일관적인 기준을 적용하기는 힘들고, 단지 개별 사례에 대한 의사 결정을 보조하는 수단으로
이용해야 하겠다.


 http://www.changwonilbo.com/news/105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