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약/상담문의
055-249-5800 카톡상담
menu

무룹병원

MURUP HOSPITAL
무룹소식
보도자료
전체 저널 TV,신문,대중매체
제목 [이정수의 건강 칼럼] 주관절 외상과염 (2)
이름 관리자
파일 KIM_8722 사121212.jpg [263.67 KB] KIM_8722 사121212.jpg
KIM_8722 사121212.jpg







[이정수의 건강 칼럼]
주관절 외상과염 2


주관절 외상과염은 질병의 경과가 다양하고, 그 치료 방법 또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현재 흔히 사용되고 있는 치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휴식
 


환자의 치료 시 성별, 직업, 질환의 급성, 만성을 떠나서 초기에는 반드시 휴식이 필요하고, 통증을 유발하는 동작이나 자세는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약물, 물리 치료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소염 진통제 및 물리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엄밀히 따져 봤을 때 염증이라기 보다는 일종의 퇴행성으로 인한 혈류 장애가 원인이기 때문에 소염 진통제 사용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외상과 주변의 염증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약물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


 


▲팔꿈치 밴드
 


외상과에 압통이 있는 부위에서 손가락 두 마디 아래 부위를 눌러주는 밴드는 손목 사용으로 인해 힘줄 손상 부위의 자극을 줄여서 통증을
완화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가벼운 스트레칭 및 손목의 신전성 수축 운동(eccentric exercise)
 


전완부 근육을 풀어주는 스트레칭과 가벼운 아령을 이용해서 손목을 뒤로 젖히는 근력 운동은 닳아 있는 힘줄 외에 다른 근력을 강화시킴으로
해서 통증을 완화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주사
 


흔히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를 많이 한다. 급성기 심한 통증에는 효과적이지만, 장기적으로 봐서 질병의 경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 한다.
최근에는 혈소판 풍부 혈장(PRP) 주사가 효과 있다는 보고가 있지만 아직 논쟁이 있는 상태다.


 


▲체외 충격파
 


기존의 보존적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에게 비침습적이면서 효과가 좋아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통증을 감소시키는 기전 및 그 생체 의학적 배경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 상태이고,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이 단점이다.


 http://www.changwonilbo.com/news/109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