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약/상담문의
055-249-5800 카톡상담
menu

무룹병원

MURUP HOSPITAL
무룹소식
보도자료
전체 저널 TV,신문,대중매체
제목 [이정수의 건강칼럼]동결견. 유착성 관절낭염
이름 관리자
파일 KIM_8722 사121212.jpg [263.67 KB] KIM_8722 사121212.jpg
KIM_8722 사121212.jpg

 


이정수의 건강칼럼


동결견. 유착성 관절낭염


 


어깨 통증을 겪어 본 분이라면 `오십견`이라는 말을 한번쯤은 들어 봤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만큼 그 용어는 상대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오십견`이란 단지 `50세의 어깨`를 지칭하는 일본에서 유래한 용어로 정확한 진단명이라 보기는 어렵다. 흔히 `오십견`으로 알고 있는 질환의 보다 정확한 진단명은 `동결견` 혹은 `유착성 관절낭염`이다.
 


어깨는 매우 복잡한 구조물로 이뤄진 만큼 어깨 통증의 원인 또한 다양하다. 그 중에서 동결견이란 어깨의 통증과 함께 관절 운동 제한이 있는 상태를 일컫는다.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어떤 원인에 의해서 어깨를 감싸고 있는 관절낭에 염증이 생기게 돼 통증이 발생하고, 이는 관절낭의 비후와 유착을 일으키게 돼 결국 관절의 운동 제한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상태를 동결견이라고 한다.
 


동결견의 증상은 크게 통증과 관절 운동 제한으로 나타나게 된다. 밤에 통증이 있어 아픈 쪽으로는 눕기 힘들고, 심한 경우에는 아파서 잠을 잘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어깨가 아픈 쪽 손으로는 머리를 빗거나 옷을 입고 벗기가 힘들 정도가 된다. 실제로 2012년 대한 정형외과에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동결견 환자들은 심한 통증과 일상생활에서의 기능 제한을 받으며, 높은 수면 장애의 발생률과 함께 낮은 삶의 질 수준을 보인다고 한다.
 


이러한 동결견은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30~70대에 이르는 다양한 연령대에서 발생하고, 특히 당뇨나 갑상선 질환이 있을 경우 그 위험성이 5배에 이르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환자들에게는 양측 어깨에 발생할 가능성이 많고, 그 경과 또한 더 오래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당뇨나 갑상선이 있는 분들은 더욱 주의해야 하겠다.
 


동결견은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좋아진다고 아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동결견의 경과를 살펴보면 우선 점차적으로 통증이 발생하지만 관절 운동 제한은 없는 동통기, 항상 둔한 통증을 느끼면서 어깨가 점점 굳어가는 동결기, 그리고 통증과 관절 운동 범위가 어느 정도 회복은 되지만 완전 회복은 되지 않는 해동기로 나눌수 있다. 치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관절 운동 제한이라는 합병증이 남게 되고, 이는 통증의 재발과 이차적인 힘줄 손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http://www.changwonilbo.com/news/95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