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약/상담문의
055-249-5800 카톡상담
menu

무룹병원

MURUP HOSPITAL
무룹소식
보도자료
전체 저널 TV,신문,대중매체
제목 [천충우의 건강 칼럼] 운동과 관련된 어깨통증
이름 관리자
파일 sdsd 사본.jpg [224.11 KB] sdsd 사본.jpg
sdsd 사본.jpg

 


[천충우의 건강 칼럼]
운동과 관련된 어깨 통증


 


일반인들에게도 헬스 운동이 널리 보급되면서 관련 통증도 흔하게 됐는데 이에 대한 원인과 패턴 등에 대해 이해가 필요하다. 갑작스럽게 운동을 하다 보면 무엇보다 과사용으로 인한 문제가 흔하며 삼각근과 회전근개 같은 어깨 주위 큰 근육의 염좌가 생길 수 있는 부분이 어깨이다.
 


헬스 운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어깨 관절의 통증은 급성 통증과 만성 통증으로 나눠질 수 있다.
 


급성 통증은 운동 전후 즉시 나타나는 통증으로서 운동 전 혹은 후에 나타나서 몇 시간 동안 지속되다가 관절과 근육을 붓게 하고 관련된 근육의 힘을 급격히 떨어뜨려 운동 기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급성 통증은 즉각적인 안정과 치료를 통해 회복이 가능한 상태이지만 이 상태에서 더욱 심한 운동이나 활동을 함으로써 악화될 수 있으며, 경과가 오랜 시간 지속될 경우 만성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만성 통증은 어깨 관절에 관련해서는 대흉근, 극상근, 삼각근을 중심으로 많이 발생하게 되나, 경부과 흉부에 이어지는 견갑내전근이나 경부회전근과도 관련돼 발생하게 된다. 지연성 근육통(DOMS,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이 발생하게 되면 주로 근육의 부종 단계를 넘어서서 근육이 딱딱해지고 굳어 가는 느낌과 함께 만성적인 통증을 유발하게 돼 일상적인 생활에 변형된 모습의 활동으로 적응해 나가게 된다.
 


급성 통증의 경우 적절한 안정과 치료, 운동 방법의 변경이나 중단을 통해서 증세가 호전되거나 완화되지만, 만성 통증은 심각한 경우가 많아 정밀한 검사와 주의깊은 진찰이 요구된다.
 


헬스로 인해 발생하는 어깨 관절의 통증과 불편함은 원인에 따라 구체적인 등급과 치료 방향이 정해지는 것이 원칙이다. 과사용으로 인한 손상은 그 부상 정도에 따라서 4등급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1급 손상은 운동을 하고 나서 2~3시간 정도 나타나는 통증, 2급 손상은 약 2주에 걸쳐 지속될 경우, 제 3급 손상은 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로서 손을 대거나 수축시키면 통증이 증가되는 양상을 보인다. 마지막 4급 손상은 운동 전이나 운동을 막 시작할 때부터 아픈 상태로서 동작 범위 제한까지 나타나며, 골절 여부 등 정확한 진단이 가장 우선시된다. 일차적으로 얼음, 휴식, 소염제, 물리 치료 요법을 시행할 수 있으나, 정확한 진단에 따라서 치료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http://www.changwonilbo.com/news/97093